2015-10-22 이찬규 교무처장은 물러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수협의회 | 작성일15-10-27 14:22 | 조회3,167회첨부파일
-
2015-10-22 이찬규 교무처장은 물러나라.hwp (32.0K) 83회 다운로드 DATE : 2015-10-27 14:22:25
관련링크
본문
이찬규 교무처장은 총장 핑계 대면서 교수들을 우롱하지 말고 물러나라
교무처와 교수협의회가 10월 21일 공동주최하기로 한 정년보장심사 공청회는 10월 20일 저녁 9시 반 이찬규 교무처장겸 교학부총장의 일방적 통고로 무산위기를 겪었다. 더구나 21일 오전에는 공청회를 한 시간밖에 안 남겨 두고 공동주최측인 교수협의회의 의사는 묻지도 않고 이례적으로 전체 문자메세지를 통해 “금일 개최예정인 정년보장 관련 공청회가 부득이 연기” 되었다고 허위사실을 유포해 교수들이 공청회에 모이지 못하게 방해까지 했다.
이찬규 교무처장은 교수들을 그만 우롱하고 스스로 물러날 때가 되었다. 아니, 지났다. 교수들을 모멸감에 빠뜨린 많은 일들이 사실상 이찬규 교무처장의 손을 거쳐 이뤄졌는데, 항상 총장 핑계만 대면서 자신은 책임 없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것도 이제 그만 둘 때가 되었다.
이번 공청회만 해도, 교수들의 분노가 높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정작 정년보장 공청회를 10월15일 열고 연구년 설명회를 11월 중에 열겠다고 한 것은 9월10일 학장회의에서 교무처장이 보고한 내용이다. 교수협의회가 이 두 사안에 대해 독자적인 공청회를 열겠다고 하자, 함께 개최하자고 제안한 것도 교무처장이다. 그러고 나서는 공청회에 임박해서야, 교협 이메일에 동의하지 못하는 내용이 들어있고(교수들이 “불만”을 가지고 있다는 데 대해) 외부 변호사가 참여했다는 트집을 잡으며, 공청회를 무산시키려 했다. 또 핑계는 총장이었다.
그러면서 은연중에 이 행사가 “공청회”가 아니라 “설명회”라고 하면서 정년보장 심사는 “공정”하게 이루어져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는데, 그럴 양이면 공청회에 와서 정년보장심사의 제일 큰 문제는 “예측불가능성”이고, “정년보장에서 탈락시켰으면 그 이유라도 제대로 공식적으로 전달해주어야 할 것 아니냐”는 교수님들의 분노에 찬 목소리를 들었어야 했다. 또 이런 이유들 때문에 교수들의 법적 권리를 지키기 위해 교수협의회의 “자문변호사”가 참석한 것이니, 이를 문제삼고 겁내는 것 자체가 스스로 법을 지키기 않았음을 보여줄 따름이다.
이 공청회의 열띤 논의의 내용과 교수협의회의 입장을 정리한 것은 교수님들께 월요일에 알려드리도록 하겠다.
우리는 어제 벌어진 공청회 무산 사태가 새로운 일은 아니라고 본다. 이는 대부분의 보직교수들과 마찬가지로 이찬규 교무처장이 총장을 핑계로 삼아 일신적 안위를 도모하면서 교수들을 우롱하는 일이 또다시 벌어진 것일 따름이다.
이찬규 교무처장은 자신이 나서서 정년보장심사를 사실상의 ‘상대평가제’나 ‘자의적 평가제’로 바꾸어 놓고 나서도 총장과 법인의 핑계만 댔다. 업적공개를 강요하는 일에도 적극 나섰으면서도 마지못해 한 것처럼 총장의 핑계를 댔다. 이번 학기 연구년 탈락을 보복 수단으로 삼은 일도 본인이 사실상 모두 주도해 처리했으면서도, 겉으로는 “공정하게 처리했다고”하면서 정작 항의가 거세어지자 “총장이 교협활동에 적극적인 A 교수, B 교수, C 교수를 탈락시키라고 했다”며 총장 뒤에 숨었을 뿐이다.
어제 공청회 중에는 정년보장제 자체가 폐지된 것 아니냐는 심각한 논란도 벌어졌다. 이번 학기 정년보장 심사 대상 교수들에게 교무처장이 “임용예정기간 2016-03-01~2021-02-28”이라는 통보를 했기 때문이다. 교무처 직원은 승진심사 신청이 가능한 기간을 적은 것일 뿐이라고 하지만, 학과제 폐지와 더불어 정년보장제 폐지가 박용성 전 이사장의 숙원사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고, 또 조만간 정년보장제 폐지로의 제도변경이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본부 보직자들이 읊고 다닌 것을 알고 있는 교수협의회로서는 이를 단순한 실수로 보지는 않는다. 공청회에서 교수들이 이를 큰 의혹의 시선으로 본 것 또한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교수협의회는 자신이 한 모든 잘못을 총장의 탓으로 돌리면서 자신들이 벌인 잘못에는 눈감는 행태가 본부보직자들 사이에서 관찰되는 충성경쟁 또는 차기 총장 자리를 꿈꾸는 암투에서 벌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크다. 그간 자신들이 한 일에 대해서는 한 마디 책임지는 태도도 보이지 않으면서, 교수들을 더욱 옥죌 수단을 강구하고, 또 죽은 줄 알았던 <선진화 계획(안)>을 ‘프라임사업’이라는 새 옷을 입혀 밀어붙이려는 것을 보면, 지난 3월 24일 교무위원들이 교수들께 보낸 이메일[첨부]도 <선진화 계획(안)>에 대한 교수들의 거센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사태무마용이었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들은 지난 7개월 동안 교내외로 혼란을 초래한 것에 대해 어떻게 책임을 통감했으며, 학교 발전을 위해 구성원의 의견이 다양하게 수렴되어 나가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무슨 노력을 했는지 묻고 싶다.
공청회에 참석한 자문변호사는 “바깥에서 볼 때 어느 정도 사정을 안다고 생각했지만, 와서 보니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해서 많이 놀랐다”고 했다.
이찬규 교무처장이 동료 보직교수들과 함께 수렁에 빠뜨린 중앙대의 상황이 이러하다. 더 이상 총장 탓 하지 말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물러나라.
2015. 10. 22.
중앙대학교 교수협의회
[첨 부]
금일 교무위원회의에서 결의된 사항을 아래와 같이 전체 교수님들께 알려드립니다.
중앙대 구성원들께
중앙대학교 교무위원 일동은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과 관련하여 교내외로 혼란을 초래한 것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학교 구성원의 의견을 존중하여 아래와 같이 선진화 계획안의 기본 방향을 새로이 설정하였습니다.
교무위원 일동은 이번 일을 계기로 우리 중앙대학교가 신뢰받는 대학이 되도록 새로운 각오로 임하겠습니다. 앞으로는 중앙대학교의 학교 발전을 위해 구성원의 의견이 다양하게 수렴되어 나가는 문화가 형성되도록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학부/학과의 틀을 유지하며, 전공예약자를 포함한 신입생을 단과대학 단위로 광역화하여 모집하고, 세부사항 논의를 위해 교수와 학생 대표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한다.”
2015년 3월 24일
중앙대학교 교무위원 일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