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01 학칙개정안/협의체 구성에 대한 교수협의회 결의 사항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수협의회 | 작성일15-09-05 15:34 | 조회1,796회첨부파일
-
0401 학칙개정안-협의체 구성에 대한 교수협의회 결의 사항.hwp (14.0K) 86회 다운로드 DATE : 2015-09-05 15:34:43
관련링크
본문
수신: 교학부총장
참조: 교무처장
제목: 교수-학생 대표 협의체 구성에 관한 협조 요청의 건
교수협의회는 3월 30일 교수협의회와 교학부총장 및 교무처장과의 협의 내용에 근거하여 3월 31일 교수협의회 대의원총회에서 교수·학생 협의체 구성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으니,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협조를 부탁합니다.
<학칙개정안/협의체 구성에 대한 교수협의회 결의 사항>
1. 교수협의회가 평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해 단과대별로 대표추천을 주도하며, 학장이 일방적으로 대표를 파견해서는 안 된다. 교학행정실에서 발송된 공문의 내용은 이 대표추천의 협조요청으로 이해한다.
2. 협의체에서는 일방적으로 공지된 학칙개정안 자체의 문제도 다룬다.
3. 이번 <선진화 계획안>을 주도한 핵심 보직교수들은 협의체에 참석해서는 안 된다.
4. 협의체에서는 먼저 2016년도 입학모집 요강에 대해서만 논의하고, 새로운 발전안은 시간을 두고서 이번 사태에 책임있는 본부 핵심 보직교수들의 거취가 확정된 다음 다룬다.
5. 협의체의 명칭과 협의체의 구성방식에 대해서 학교본부는 교수협의회와 협의해 결정해야 한다.
6. 협의체의 위원장을 교수협의회와 교수대표들이 추천한다.
7. 협의체 대표에는 단과대별 대표 외에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대표도 1인 포함한다.
8. 학생 대표 4인에는 총학생회 외에 학교 <계획안>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을 개진해온 학생 대표들(예를 들어 학생대표 공대위)도 포함해야 한다.
이상의 내용과 관련해 아래 사항에 대한 협조를 요청합니다.
1. 단과대별 협의체 대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선정할 예정입니다.
(1)교협 대의원회의 추천(또는 단과대 평교수 추천 병행)
(2)교수협의회 대의원회에서 단과대별 추천후보 확정
(3)단과대별로 교수들의 동의 요청
(4)단과대 학장의 공문을 통한 제청
교수협의회가 주관 하에 단과대 교수들의 동의를 거쳐 추천한 교수대표가 단과대별 협의체 대표로 협의체에 참여하도록 협조를 요청합니다.
2. 협의체의 단과대별 대표 중 공과대학과 창의ICT공과대학은 1명의 대표가 겸임하며, 예술대학과 체육대학도 1명의 대표가 겸임하여, 단과대별 교수대표는 모두 11명으로 하고자 합니다.
3.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1명의 교수대표를 포함시키고자 합니다.
4.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협의체의 위원장을 포함시키고자 합니다. 이렇게 하면 교수대표는 위원장 포함 모두 13명으로 합니다.
5. 협의체의 명칭은 가칭 “대학발전 협의체”로 하되 협의체 첫 모임에서 명칭을 확정하고자 합니다.
6. 이번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안)>을 일방추진 하여 물의를 일으킨 핵심 보직자는 협의체에서 배제하고자 합니다.
7. 4인의 학생대표에 총학생회장 외에 학교 <계획안>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을 개진해온 학생 대표들(예를 들어 학생대표 공대위)도 포함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합니다.
참조: 교무처장
제목: 교수-학생 대표 협의체 구성에 관한 협조 요청의 건
교수협의회는 3월 30일 교수협의회와 교학부총장 및 교무처장과의 협의 내용에 근거하여 3월 31일 교수협의회 대의원총회에서 교수·학생 협의체 구성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의결하였으니,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협조를 부탁합니다.
<학칙개정안/협의체 구성에 대한 교수협의회 결의 사항>
1. 교수협의회가 평교수들의 의견을 수렴해 단과대별로 대표추천을 주도하며, 학장이 일방적으로 대표를 파견해서는 안 된다. 교학행정실에서 발송된 공문의 내용은 이 대표추천의 협조요청으로 이해한다.
2. 협의체에서는 일방적으로 공지된 학칙개정안 자체의 문제도 다룬다.
3. 이번 <선진화 계획안>을 주도한 핵심 보직교수들은 협의체에 참석해서는 안 된다.
4. 협의체에서는 먼저 2016년도 입학모집 요강에 대해서만 논의하고, 새로운 발전안은 시간을 두고서 이번 사태에 책임있는 본부 핵심 보직교수들의 거취가 확정된 다음 다룬다.
5. 협의체의 명칭과 협의체의 구성방식에 대해서 학교본부는 교수협의회와 협의해 결정해야 한다.
6. 협의체의 위원장을 교수협의회와 교수대표들이 추천한다.
7. 협의체 대표에는 단과대별 대표 외에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대표도 1인 포함한다.
8. 학생 대표 4인에는 총학생회 외에 학교 <계획안>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을 개진해온 학생 대표들(예를 들어 학생대표 공대위)도 포함해야 한다.
이상의 내용과 관련해 아래 사항에 대한 협조를 요청합니다.
1. 단과대별 협의체 대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선정할 예정입니다.
(1)교협 대의원회의 추천(또는 단과대 평교수 추천 병행)
(2)교수협의회 대의원회에서 단과대별 추천후보 확정
(3)단과대별로 교수들의 동의 요청
(4)단과대 학장의 공문을 통한 제청
교수협의회가 주관 하에 단과대 교수들의 동의를 거쳐 추천한 교수대표가 단과대별 협의체 대표로 협의체에 참여하도록 협조를 요청합니다.
2. 협의체의 단과대별 대표 중 공과대학과 창의ICT공과대학은 1명의 대표가 겸임하며, 예술대학과 체육대학도 1명의 대표가 겸임하여, 단과대별 교수대표는 모두 11명으로 하고자 합니다.
3.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1명의 교수대표를 포함시키고자 합니다.
4. 교수협의회가 추천하는 협의체의 위원장을 포함시키고자 합니다. 이렇게 하면 교수대표는 위원장 포함 모두 13명으로 합니다.
5. 협의체의 명칭은 가칭 “대학발전 협의체”로 하되 협의체 첫 모임에서 명칭을 확정하고자 합니다.
6. 이번 <학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안)>을 일방추진 하여 물의를 일으킨 핵심 보직자는 협의체에서 배제하고자 합니다.
7. 4인의 학생대표에 총학생회장 외에 학교 <계획안>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을 개진해온 학생 대표들(예를 들어 학생대표 공대위)도 포함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